2025년 02월 22일 토요일
 
 
  현재위치 > 뉴스지닷컴 > 과학기술

랜섬웨어부터 돼지도살까지... 노련해진 사기행각

 

정치

 

경제

 

사회

 

생활

 

문화

 

국제

 

과학기술

 

연예

 

스포츠

 

자동차

 

부동산

 

경영

 

영업

 

미디어

 

신상품

 

교육

 

학회

 

신간

 

공지사항

 

칼럼

 

캠페인
한살림 ‘우리는 한쌀림’ 쌀 소비 캠페인 시...
1000만원짜리 인공와우, 건강보험 지원 ‘평...
- - - - - - -
 

형광 색깔로 살아있는 만능줄기세포 구별

뉴스일자: 2016-11-10

건국대학교 줄기세포재생생물학과 도정태 교수 연구팀은 완전만능줄기세포와 준만능줄기세포를 살아있는 상태에서 형광 색깔로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생물학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셀(Cell) 자매지 ‘스템 셀 리포트’지 11월 8일자에 발표됐다.

만능줄기세포는 신체를 이루는 모든 조직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무한 증식하는 세포이다. 이러한 만능줄기세포는 완전만능줄기세포)와 준만능줄기세포로 나뉜다.

완전만능줄기세포는 착상 전 마지막 단계인 배반포의 내부세포덩어리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준만능줄기세포는 착상되어 발달 중인 배반엽상피세포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차이가 있지만 완전만능줄기세포는 분화능력이 더 우수하며 체외 배양이 더 쉬운 특징이 있다.

건국대 도정태 교수팀은 만능줄기세포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유전자인 Oct4를 이용해 두 만능줄기세포를 형광 색깔로 구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Oct4의 발현에 있어 완전만능줄기세포는 원위 인헨서에 의해 활성화되며, 준만능줄기세포는 근위 인헨서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두 가지 만능줄기세포를 인헨서 활성화에 따라 각각 초록형광단백질(GFP)과 빨강형광단백질(RFP)이 발현되는 이중 형광 형질전환 생쥐를 제작했다.

이중 형광 형질전환 생쥐로부터 초록형광을 발현하는 완전만능줄기세포와 빨강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준만능줄기세포를 효율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 초록형광 빛을 내는 완전만능줄기세포는 원위 인헨서가 활성화되어 있고, 빨강형광 빛을 내는 준만능줄기세포는 근위 인헨서가 활성화된 것을 히스톤변화, DNA 메틸화 등 후성유전학적인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농촌진흥청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과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전체뉴스목록으로

AI 플랫폼과 생체조직칩 기술 결합...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 구축
HD한국조선해양, SMR 추진 선박으로 무탄소 시대 연다
두구다, 대전에 ‘AI 국방기술 연구소’ 개소… 국방 AI 혁신 본격화
동아ST,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 신청
한국살이 원하는 외국인 이공·의약 박사, 처우는 ‘글쎄’
리바이오 ‘AQUAL’ 수질테스터기, 혁신적인 수질 검사 기술
식물이 가뭄 이겨내는 비밀, 건국대 연구진이 밝혔다

 

원텍, 브라질 ANVISA 인증 획득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 IDEX서 ‘다층 방공 솔루션’ 공개
한화, L-SAM 중동 첫 공개… 맞춤형 다층 방공 솔루션 제시
GC녹십자, ‘헌터라제 ICV’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진일텍푸라, 화재 안전 위한 혁신적인 플라스틱 소재 개발
효성중공업, AI 시대 지능형 전력기기 솔루션 선보인다
LS일렉트릭, 스마트 솔루션 앞세워 ‘전력 슈퍼사이클’ 주도권

 


공지사항
뉴스지 한자 표기에 대만식 음차 표기 '纽斯集 니우시지' 병기
뉴스그룹 정보 미디어 부문 상표등록
알프롬 계열 상표, 상표등록 완료
알뜰건설, 상표등록 완료
존차닷컴, 글꼴 변경 상표등록 완료

 

회사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책임한계와 법적고지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고객센터

기사제보 이메일 news@newsji.com, 전화 050 2222 0002, 팩스 050 2222 0111, 주소 : 서울 구로구 가마산로 27길 60 1-37호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등록 : 서울 자00447, 등록일자 : 2013.12.23., 뉴스배열 및 청소년보호의 책임 : 대표 CEO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