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26일 수요일
 
 
  현재위치 > 뉴스지닷컴 > 미디어

랜섬웨어부터 돼지도살까지... 노련해진 사기행각

 

정치

 

경제

 

사회

 

생활

 

문화

 

국제

 

과학기술

 

연예

 

스포츠

 

자동차

 

부동산

 

경영

 

영업

 

미디어

 

신상품

 

교육

 

학회

 

신간

 

공지사항

 

칼럼

 

캠페인
한살림 ‘우리는 한쌀림’ 쌀 소비 캠페인 시...
1000만원짜리 인공와우, 건강보험 지원 ‘평...
- - - - - - -
 

우려되는 개인과 기업용 신원관리 통합

이중 인증 사용자 40%
뉴스일자: 2016-12-15

디지털 보안의 세계적 선두업체 젬알토가 발표한 ‘인증 및 신원 관리지표’ 조사에 따르면 기업 내 IT 전문가 가운데 90%는 개인 크리덴셜을 업무용으로 재사용할 경우 보안이 침해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응답자의 68%는 직원들이 사내 리소스상에서 개인 소셜미디어 크리덴셜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해도 된다는 입장이었다. 즉, 이메일 등 개인용 애플리케이션이 사내 보안에 최대 우려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기업용 시장과 소비자 시장이 점점 더 긴밀하게 통합되면서 각 기업 보안부서들이 지문 스캐닝이나 홍채 인식 등 소비자 서비스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종류의 인증 기법 도입에 대한 압박을 느끼는 응답자가 62%에 달했다.

63%는 소비자 서비스를 위해 설계된 보안 기법들이 기업 보안에도 적합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52%는 기업용과 소비자용 보안 기법이 완전하게 통합되는 데 3년 정도면 충분하다는 입장이었다.

전세계 데이터 유출의 64%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신원 도용인데*, 소비자 서비스 분야에서의 유출 사고 역시 증가세에 있어 기업 가운데 액세스 관리 보안 규정을 마련한 곳이 89%에 이르고 있다.

또한 49%의 기업은 추가적인 트레이닝을 통해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있으며 47%는 보안분야 지출, 44%는 리소스 투입을 확대하고 있었다.

인증과 액세스 관리에 대한 기업들의 접근 방식은 편리함과 이동성에 대한 직원들의 기대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세스 관리 리소스와 투자를 늘렸다고 밝힌 응답자가 전체의 절반 가까이 됐다.

또한 응답자 가운데 62%는 2년 내에 소속 기업이 강력한 인증 방식을 도입할 것으로 전망해 지난해(51%)보다 비율이 늘었으며 40% 가까운 응답자는 2년 내에 클라우드 SSO나 IDaaS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 대상자의 94%는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위해 이중 인증 방식을 도입했으며 가까운 미래에 이를 적용할 것이라는 응답자도 96%에 달했다.

기업들의 모바일화 경향이 증가하면서 리소스를 보호하는 동시에 직원들의 이동 근무를 위한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동식 근무 방식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지만, 응답자 가운데 91%는 소속 기업이 모바일 기기를 통한 직원들의 리소스 접근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완전히 차단하고 있는 기업도 35%를 차지했다. 이 같은 사실은 기업 가운데 50% 정도가 이동 근무 증가로 인한 문제점으로 보안을 지적한 것과 궤를 함께한다.

이동성 증가에 따른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업들은 여전히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사용에 의존하고 있는데, 조사 참여자의 2/3 가량은 소속 기업이 이 같은 인증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37%의 응답자는 소속 기업이 이중 인증 방식을 통해 모바일 기기로 회사 리소스에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내 접근 비중 또한 늘고 있기 때문에 이중 인증 방식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2년 정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56%를 차지했다.

젬알토의 신원 보호 솔루션 사업을 총괄하는 프랑수아 라스니에(Francois Lasnier) 부사장은 “크리덴셜 공유부터 인증 실행에 이르기까지 소비자 트렌드가 기업 보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명백해 보인다”면서 “하지만 기업들은 사용자의 나쁜 습관으로 인해 데이터 보안이 침해되는 일을 막아야 한다. 이와 관련해 이중 인증 기법의 도입과 더불어 클라우드 액세스 관리에 대한 인식이 늘고 있는 사실은 반가운 일이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 두 가지 솔루션은 기업들이 가장 효과적인 형태로 클라우드 리소스 보안과 내외부 위협으로부터의 보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IT 분야 리더들은 소속 기업의 이사회 차원에서 보안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모든 구성원들이 유념할 사안이라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체뉴스목록으로

‘CLIP STUDIO PAINT’ 데모 앱, ‘갤럭시 S25 울트라’로 체험
AI 악용 피싱에 대비해야… ‘AI 보안 위협’
야놀자, 구글 클라우드와 데이터 기반 AI 파트너십 체결
보안솔루션 업체 ACE-운빨존많겜, 공정한 게임 플레이 위해 협업
스패로우, 글로벌 보안 시장에서 성장 가속
워드캣 ‘기관 홍보 콘텐츠 제작 등 디지털 홍보 용역’ 수주
킹덤스토리, 9년 만의 역주행... 동남아에서 매출 상승세

 

워드캣 ‘2025년 안성시 SNS 운영 용역’ 수주
‘Imec 테크놀로지 포럼 코리아’ 서울 개최
‘갤럭시 스튜디오’ 누적 방문객 30만 명 돌파
SK네트웍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익 60.5% 증가
네이버톡톡 정보 및 마케팅 메시지 발송 서비스 출시
와콤, 2025년 새 학기 준비 ‘이새준’ 프로모션
서브컬처 철도 시뮬레이션 RPG ‘레조넌스’ 14일 정식 출시

 


공지사항
뉴스지 한자 표기에 대만식 음차 표기 '纽斯集 니우시지' 병기
뉴스그룹 정보 미디어 부문 상표등록
알프롬 계열 상표, 상표등록 완료
알뜰건설, 상표등록 완료
존차닷컴, 글꼴 변경 상표등록 완료

 

회사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책임한계와 법적고지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고객센터

기사제보 이메일 news@newsji.com, 전화 050 2222 0002, 팩스 050 2222 0111, 주소 : 서울 구로구 가마산로 27길 60 1-37호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등록 : 서울 자00447, 등록일자 : 2013.12.23., 뉴스배열 및 청소년보호의 책임 : 대표 CEO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