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배터리 품질 혁신 이끄는 초정밀 이미징-CT 기술 공개 |
ZEISS 품질솔루션사업부, 인터배터리 2025 참가 |
|
|
배터리 산업의 발전과 함께 고해상도 이미징과 정밀 분석 기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자이스 코리아는 3월 5일 개막하는 ‘인터배터리 2025’에서 최첨단 X-Ray/CT, 3차원 측정기, 3D 스캐너 및 머신러닝(ML) 기반 분석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배터리 제조업체들과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전시에서 자이스 코리아는 배터리 연구·개발(R&D) 및 품질 관리(QC)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FIB-SEM 자이스 크로스빔 △X-Ray 현미경 자이스 엑스라디아 버사 △비파괴 CT 메트로톰 1500 △청정도 검사 솔루션 및 AI/ML 기반 소프트웨어를 전격 공개한다.
자이스 크로스빔은 펨토초 레이저와 갈륨(Ga) 이온빔을 활용해 배터리 단면을 나노미터(nm) 수준까지 정밀 가공 및 분석할 수 있는 FIB-SEM 시스템이다. 이 기술은 기존 연마 방식보다 훨씬 빠르고 정밀한 단면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자이스 엑스라디아 버사와 연계한 좌표 연동 분석을 통해 배터리 내부 구조까지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I 기반 이미지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ZEN 인텔리시스를 적용해 현미경 사용자의 분석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배터리 소재 연구 및 불량 분석의 필수 장비인 자이스 엑스라디아 버사는 업계 최고 수준의 공간 분해능을 자랑하는 X-ray 현미경이다. 비파괴 3D 단층 촬영(토모글피)을 통해 배터리 셀의 활성 물질, 전극, 층간 구조를 고해상도로 분석할 수 있으며, AI 및 ML 기반 모듈 딥 레콘 프로를 활용하면 촬영 횟수를 줄이면서도 이미지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촬영 시간을 최대 10배 단축할 수 있어 연구 효율성의 극대화가 가능하다. 특히 소프트웨어의 유저 인터페이스(UI)가 사용자 친화적으로 업그레이드된 엑스라디아 버사 730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된다.
배터리 셀과 모듈 내부의 미세한 결함을 감지하는 자이스 메트로톰 1500은 최대 615mm까지 측정 가능한 정밀 CT 시스템이다. 이 장비는 정밀도(3+L/100 마이크로미터)를 갖춘 3D 볼륨 측정이 가능하며, AI 기반 자동 결함 분석 기술을 적용한 자이스 인스펙트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결함 검출 속도를 대폭 향상시켰다. 특히 자동화된 AI 알고리즘이 적용된 결함 분석 기능을 통해 기존 대비 분석 시간을 줄이면서도 검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자이스의 광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을 활용한 청정도 검사 솔루션은 1㎛까지의 입자도 고해상도로 감지하며, 금속과 비금속 입자 유형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값을 제공해 오염의 근본 원인을 분석한다. 자이스의 솔루션은 각 입자의 화학적 구성을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장비 간 상호 연동을 통해 통합적 분석이 가능하다.
자이스 코리아는 인터배터리 2025를 통해 배터리 제조업체 및 연구 기관이 필요로 하는 최첨단 이미지 분석 및 품질 관리 솔루션을 공개할 예정이다. 전시 기간 동안 자이스 부스(C620)를 방문하면 전문 엔지니어들의 1:1 상담, 데모 시연, 실제 배터리 분석 프로세스 체험이 가능하다.
출처 : 자이스코리아
|
|
전체뉴스목록으로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