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직무대행 임후남)은 방송통신중학교 개교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1월 24일(금) 오후 1시에 ‘2023년 방송중·고 연구·사업 성과’ 포럼을 The-K 호텔 서울에서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방송통신중학교 개교 10주년을 기념해 2023년 한 해 동안 수행한 방송중·고 연구·사업 성과 공유를 통해 방송중·고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자 기획됐다. 포럼은 한국교육개발원 미래교육연구본부 손찬희 본부장의 개회사와 교육부 교육복지정책과 정윤경 과장의 축사와 함께 ‘KEDI 세션 : 미래 교육 환경 및 교육정책 변화에 대응한 방송중·고 발전 방향’, ‘연구학교 세션 : 미래 교육 환경 및 교육정책 변화에 대응한 방송중·고 운영 방안’의 두 세션으로 구성됐다.
KEDI 세션의 첫 번째 발표 주제는 ‘방송중·고 스마트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습지원 방안’으로, 최근의 교육적 이슈로 언급되고 있는 스마트데이터 기반 교육에 대한 실제적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두 번째 주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방송중·고 디지털 학습 콘텐츠 설계 방안’으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의 정책 변화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해 방송중·고 원격수업의 안정적 운영과 질 제고를 위한 디지털 학습 콘텐츠 설계 방향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 번째는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운영 개선 방안’ 발표를 통해 방송중·고에서 운영 중인 학습경험인정제의 각종 현황을 파악해 이후 방송중·고의 역할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살펴보았다. 토론은 한국교육개발원 방송중·고운영센터 황은희 소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한다. 토론자로 서울신학대학교 허선영 교수, 강릉원주대학교 채수은 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광상 연구위원이 참여했다.
연구학교 세션에서는 첫 번째로 구월여자중학교 부설 방송통신중학교 정지혜 교사가 ‘방송통신중학교 AI 기반 맞춤형 학습지원 방안(2차년도)’을 주제로 맞춤형 학습지원을 위한 인프라 강화, 교사 요구 파악 및 학습데이터 활용 방안 탐색, 학습지원 페이지(안)에 대한 학생 사용성 평가 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두 번째로 포항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천봉승 교사가 ‘방송통신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적용 방안(1차년도)’을 주제로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인프라 조성, 교육과정 운영, 교수-학습공동체 및 진로교육 운영 결과를 발표했다. 토론은 한국교육개발원 방송중·고운영센터 정책연구팀 한정윤 총괄이 좌장을 맡아 진행한다. 토론자로 만성중학교 김철규 교장, 경상북도교육청연구원 이정림 연구사가 참여했다. 이 세션에서는 AI의 교육적 활용, 고교학점제 등 정책 변화에 따른 방송중·고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포럼을 통해 방송통신중학교 개교 10주년을 기념함과 동시에 미래교육 환경 및 교육정책 변화에 대한 방송중·고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선도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